2024.01.19 (금)

  • 맑음동두천 3.0℃
  • 흐림강릉 4.3℃
  • 흐림서울 4.4℃
  • 맑음대전 5.8℃
  • 흐림대구 6.9℃
  • 흐림울산 6.8℃
  • 광주 7.7℃
  • 부산 7.1℃
  • 구름많음고창 4.9℃
  • 제주 10.8℃
  • 흐림강화 3.9℃
  • 맑음보은 5.5℃
  • 구름많음금산 5.8℃
  • 흐림강진군 7.8℃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7.5℃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이 만난사람

“등잔은 온돌이 우리것 임을 증명해 주는 열쇠”

김형구 한국등잔박물관장

 

 

 

중국의 ‘온돌공정’에 맞서 필승이론 정립… 온돌문화연구소 오픈 계획

온돌 구들장의 뿌리는 예맥족의 고인돌… 독특한 좌식문화 등잔 발달

 

[용인신문] “우리나라에서 온돌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을 하려는데 중국이 반대를 해서 못했어요. 중국 사람들은 1500년 전 기록이 있다고 하는데 우리는 처음 기록이 세종실록에 나와요. 그렇지만 현재 일상 생활 속에서 온돌 쓰고 있는 나라는 우리밖에 없어요. 중국은 온돌을 하나도 사용하지 않고 있어요. 요새 우리나라 50층짜리 아파트도 다 온돌이에요. 온돌이라는 것은 방바닥을 덥히는 시스템이에요. 초창기에는 밑에서 직접 불을 땠지만 지금은 스팀으로 하잖아요. 그것만 바뀌었지 밑에서 덥히는 것은 전 세계에서 우리밖에 없어요. 우리나라 주거의 95%가 온돌 주거에요.”

 

김형구 한국등잔박물관 관장은 최근 등잔 문화를 바탕으로 온돌문화가 우리 것임을 증명하는 이론 작업을 완성했다.

 

“온돌이 처음 시작된 게 등잔부터 시작해요. 등잔은 좌식 문화에서만 나올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거에요. 그러면 온돌은 어디서 왔나. 구들장이 중요한데 그걸 추적하다 보니 고인돌과 연계되고, 그걸 쓴 사람이 누구냐 봤더니 8000여년부터 잡히는 예맥족부터 만든거에요. 그 후예들이 지금 여기 한반도에 살고 있는 거에요.”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정몽주 선생 묘역을 지나 500여m 올라가다 보면 한국의 등잔을 한곳에 모아놓은 세계 유일한 등기구 역사박물관인 재단법인 한국등잔박물관이 나타난다.

 

김형구 관장은 부친인 고 김동휘 전 관장의 뒤를 이어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99년에 박물관 전 재산을 국가에 기증해 현재 비영리 공익법인인 박물관을 김 관장이 사비를 연간 1억여원씩 들여가면서 운영만 맡아서 하고 있다. 그만큼 세계에서 유일한 등잔 박물관의 문화적, 학술적 가치를 크고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이미 온돌을 놓고 벌어지는 중국과의 싸움에서 이길 이론 정립을 마친 상태이고 내년에 취임 25주년을 기해서는 온돌문화연구소를 박물관 내에 오픈할 계획이다.

 

이곳 박물관을 둘러보면 등잔이 좌식문화, 온돌문화에서 사용했던 물건임을 대번에 알 수 있다.

 

김형구 관장은 온돌이 우리 것임을 학문적으로 주장하는 사람으로는 세계에서 유일하다. 7, 8년 전부터 이론 작업을 시작했다.

 

“우리나라 등잔은 전부 키(높이)들이 비슷하게 같아요. 왜냐면 그것은 온돌에 사는 사람만이 쓰게 발달 한 것이기 때문이에요. 등잔에서 제일 중요한 게 잔이에요. 전 세계 사람들이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곳에서는 잔을 썼어요. 다만 주거 형식에 따라서 우리나라처럼 대가 있는 등잔이 발달해요. 우리는 방바닥에 앉아서 사는데 잔을 바닥에 놓으면 빛의 효율이 없잖아요. 빛의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 잔을 끌어올린 거에요. 방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눈 높이보다 조금 낮게 놔야 바느질도 하고 책도 보지 않겠어요. 우리나라만 받침이 있고 대가 있어요. 같은 좌식이어도 동남아는 집이 형편없으니까 만일 쓰러지면 집이 다 타버리잖아요. 일본 역시 풀을 말려서 방석 짜서 놓은 다다미 아니에요. 우리 것과 같은 등잔을 쓰다가 쓰러뜨리면 않되잖아요. 중국은 시원찮아도 테이블과 의자를 사용했어요. 테이블에 올려놓으면 대가 있을 필요가 없어요. 결국 우리가 온돌을 쓰는 주거형태이기 때문에 대가 있는 등잔이 발달한 것이 증명되는 것이에요.”

 

김형구 관장은 결국 우리 조상들이 사용하던 등잔은 온돌문화를 증명해줄 중요한 문화유산이라고 강조했다.

 

“온돌은 뭐가 제일 중요하냐하면 구들장이에요. 그 구들장은 삼국시대부터 쭉 썼는데 구들장이 전부 돌이잖아요. 어디서 주워다 쓴 게 아니라 채석장에서 깼어요. 돌 깨는 기술은 어디서 나왔냐. 우리 민족이 어디서 왔나 그걸 추적해보면 예맥족에서 시작해요. 근데 예맥족만의 독특한 장례문화가 있었어요. 그게 고인돌이에요. 고인돌이 세계적으로 많이 나오는 데가 우리나라, 프랑스, 영국인데 프랑스와 영국은 재료가 대리석이에요. 톱으로 잘라야 하죠. 우리나라 전체에 5만여 점 발견되는데 고인돌이 채석장에서 깬 거에요. 즉, 고인돌 깨는 기술을 만들어낸 게 예맥족이에요. 그 고인돌 깨는 기술이 곧 구들장 깨는 기술이었어요.”

 

김형구 관장은 “납작납작 다 비슷하게 깬 돌이 구들장이고 그것이 바로 온돌”이라며 “온돌에 살다보니까 이렇게 생긴 등잔이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관장은 “세계에서 등잔으로 박물관 한데가 여기밖에 없다”며 우리 문화의 뛰어난 우수성에대해 매우 자랑스러워 했다.

 

그러나 김 관장은 “중국은 만주 북쪽에 고인돌이 700개가 있다”며 “그게 고구려 땅인데 중국 측은 거기에 고구려 사람들이 살았다고 해서 너희 땅이라고 할 수 있냐는 거에요. 결국 우리 땅이었던 걸 무시하는 거죠”라면서 “중국 사람들이 온돌을 자기네 것이라고 우기는 데에 대응할 이론이 이것 하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백년, 천년, 만년 이걸 가지고 싸워야 해요. 이론이 없으면 안되요. 독도도 마찬가지에요. 왜 그런지 이론이 없으면 안되는 것이고, 그 이론을 가르쳐야 해요.”

 

김형구 관장은 중국과 수백, 수천년을 싸울 가장 든든한 이론을 만들어 놨다고 자부했다.

 

김형구 관장은 “이 이론을 가지고 계속 후손이 연구를 덧붙여가면서 우리 민족의 주거문화에긍지를 가지고 왜 우리 것인지를 제대로 이야기할 수 있어야하지 않겠냐”고 강조했다.

 

김형구 관장은 온돌문화연구소를 만들 계획이다. 우선 연구소를 발족부터 시키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다 동참해야 하니 이어서 건물을 마련한다는 구상을 가지고 있다.

 

원래 김형구 관장은 화공을 전공했고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다양하게 공헌한 경제통이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고고학에 관심이 많아 50년 넘게 고고학공부를 했다. 음악, 미술, 문학 등 미적 안목과 문화예술에 대해 조예가 깊다. 등잔박물관장으로 있으면서 20여년간 5만여명을 대상으로 박물관, 전국의 대학 등에서 10개의 테마를 놓고 강의를 펼쳤다.

 

그것은 어린시절부터 우리문화유산을 소중하게 여겼던 할아버지인 김용옥 선생(고가구 수집)과 부친인 김동휘 박사(등잔 수집, 수원최초 보구산부인과 원장) 덕분에 헌물건(골동품)에 둘러싸여 성장한 데서 비롯된다.

 

“모두 하찮아보여서 모은 거에요. 할아버지, 아버지는 하찮은데서 귀한 것을 보는 안목이 있으셨어요. 두 분이 수집하지 않았으면 모두 아궁이 불쏘시개로 다 사라져버렸겠지요. 나도 평생 수집했어요. 중학교 다닐 때부터 좋은 도자기가 있으면 샀어요. 그땐 비싸지 않았죠. 내가 수집한 것만 해도 70년 모았어요. 왕릉 같은데서 나오는 것은 사용하지 않은 새것이지만 내가 모은 도자기는 민간이건 관이었건 일상에서 쓰던 도자기들이에요.”

 

김형구 관장은 한번만 보면 다 알 정도로 타고난 미적 안목을 가졌다. 3대가 수집한 고가구, 등잔, 도자기로 세운 박물관 전 재산을 아낌없이 국가에 내놓고도 변함없이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연구하고 알리는 일에 평생을 바치고 있는 김형구 관장이 존경스럽다.

 

“이곳이 얼마나 중요한 박물관인데 후세 사람들이 그걸(등잔, 도자기, 고가구) 다 가지고 있어야 박물관이 발전이 되는 거에요.”



용인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기사



배너